본문 바로가기
성경필사

다니엘 단 5장 벨사살 왕의 잔치에 나타난 손가락 글씨

by 서치콕 2024. 11. 16.
반응형

다니엘 단 5장 벨사살 왕의 잔치에 나타난 손가락 글씨

다니엘 5장

벨사살 왕의 망령된 잔치

벨사살 왕이 그 귀인 일천 명을 위하여 큰 잔치를 배설하고 그 일천 명 앞에서 술을 마시니라.

2 벨사살이 술을 마실 때에 명하여 그 부친 느부갓네살이 예루살렘 전에서 취하여 온 금, 은 기명을 가져오게 하였으니 이는 왕과 귀인들과 왕후들과 빈궁들이 다 그것으로 마시려 함이었더라.

3 이에 예루살렘 하나님의 전 성소 중에서 취하여 온 금 기명을 가져 오매 왕이 그 귀인들과 왕후들과 빈궁들로 더불어 그것으로 마시고

4 무리가 술을 마시고는 그 금, 은, 동, 철, 목, 석으로 만든 신들을 찬양하니라.

5 그때는 사람의 손가락이 나타나서 왕궁 촛대 맞은편 분벽에 글자를 쓰는데 왕이 그 글자 쓰는 손가락을 본지라.

6 이에 왕의 즐기던 빛이 변하고 그 생각이 번민하여 넓적다리 마디가 녹는 듯하고 그 무릎이 서로 부딪힌지라.

7 왕이 크게 소리하여 술객과 갈대아 술사와 점장이를 불러오게 하고 바벨론 박사들에게 일러 가로되 무론 누구든지 이 글자를 읽고 그 해석을 내게 보이면 자주옷을 입히고 금사슬로 그 목에 드리우고 그로 나라의 셋째 치리자를 삼으리라 하니라.

8 때에 왕의 박사가 다 들어왔으나 능히 그 글자를 읽지 못하며 그 해석을 왕께 알게 하지 못하는지라.

9 그러므로 벨사살 왕이 크게 번민하여 그 낯빛이 변하였고 귀인들도 다 놀라니라.

10 태후가 왕과 그 귀인들의 말로 인하여 잔치하는 궁에 들어왔더니 이에 말하여 가로되 왕이여! 만세수를 하옵소서. 왕의 생각을 번민케 말며 낯빛을 변할 것이 아니니이다.

11 왕의 나라에 거룩한 신들의 영이 있는 사람이 있으니 곧 왕의 부친 때에 있던 자라서 명철과 총명과 지혜가 있어 신들의 지혜와 같은 자라. 왕의 부친 느부갓네살 왕이 그를 세워 박수와 술객과 갈대아 술사와 점장이의 어른을 삼으셨으니

12 왕이 벨드사살이라 이름한 이 다니엘의 마음이 민첩하고 지식과 총명이 있어 능히 꿈을 해석하며 은밀한 말을 밝히며 의문을 파할 수 있었음이라. 이제 다니엘을 부르소서. 그리하시면 그가 그 해석을 알려드리리이다.

다니엘의 글 해석

13 이에 다니엘이 부름을 입어 왕의 앞에 나오매 왕이 다니엘에게 말하여 가로되 네가 우리 부왕이 유다에서 사로잡아 온 유다 자손 중의 그 다니엘이냐?

14 내가 네게 대하여 들은즉 네 안에는 신들의 영이 있으므로 네가 명철과 총명과 비상한 지혜가 있다 하도다.

15 지금 여러 박사와 술객을 내 앞에 불러다가 그들로 이 글을 일고 그 해석을 내게 알게 하라 하였으나 그들이 다 능히 그 해석을 내게 보이지 못하였느니라.

16 내가 네게 대하여 들은즉 너는 해석을 잘하고 의문을 파한다 하도다. 그런즉 이제 네가 이 글을 읽고 그 해석을 내게 알게 하면  네게 자주옷을 입히고 금사슬을 네 목에 드리우고 너로 나라의 셋째 치리자를 삼으리라.

17 다니엘이 왕에게 대답하여 가로되 왕의 예물은 왕이 스스로 취하시며 왕의 상급은 다른 사람에게 주옵소서. 그러지라도 내가 왕을 위하여 이 글을 읽으며 그 해석을 아시게 하리이다.

18 왕이여! 지극히 높으신 하나님이 왕의 부친 느부갓네살에게 나라와 큰 권세와 영광과 위엄을 주셨고

19 그에게 쿤 권세를 주셨으므로 백성들과 나라들과 각 방언하는 자들이 그의 앞에서 떨며 두려워하였으며 그는 임의로 죽이며 임의로 살리며 임의로 높이며 임의로 낮추었더니

20 그가 마음이 높아지며 뜻이 강퍅하여 교만을 행하므로 그 왕위가 폐한 바 되며 그 영광을 빼앗기고

21 인생 중에서 쫓겨나서 그 마음이 들짐승의 마음과 같았고 또 들나귀와 함께 거하며 또 소처럼 풀을 먹으며 그 몸이 하늘 이슬에 젖었으며 지극히 높으신 하나님이 인간 나라를 다스리시며 자기의 뜻대로 누구든지 그 위에 세우시는 줄을 알기까지 이르게 되었었나이다.

22 벨사살이여! 왕은 그 의 아들이 되어서 이것을 다 알고도 오히려 마음을 낮추지 아니하고

23 도리어 스스로 높여서 하늘의 주재를 거역하고 그전 기명을 왕의 앞으로 가져다가 왕과 귀인들과 왕후들과 빈궁들이 다 그것으로 술을 마시고 왕이 또 보지도 듣지도 알지도 못하는 금, 은, 동, 철과 목, 석으로 만든 신상들을 찬양하고 도리어 왕의 호흡을 주장하시고 왕의 모든 길을 작정하시는 하나님께는 영광을 돌리지 아니한지라.

24 이르므로 그의 앞에서 이 손가락이 나와서 이 글을 기록하였나이다.

25 기록한 글자는 이것이니 곧 네네 메네 데겔 우바르신이라.

26 그 뜻을 해석하건대 메네는 하나님이 이미 왕의 나라의 시대를 세어서 그것을 끝나게 하셨다 함이요.

27 데겔은 왕이 저울에 달려서 부족함이 뵈었다 함이요.

28 베레스는 왕의 나라가 나뉘어서 메데와 바사 사람에게 준바 되었다 함이니이다.

29 이에 벨사살이 명하여 무리로 다니엘에게 자주옷을 입히게 하며 금사슬로 그의 목에 드리우게 하고 그를 위하여 조서를 내려 나라의 셋째 치리자를 삼으니라.

30 그날 밤에 갈대아왕 벨사살이 죽임을 당하였고

31 메대 사람 다리오가 나라를 얻었는데 때에 다리오는 육십이 세였더라.


■ 자주옷을 입힌다는 것은 (5:7)

 고대에서 자주색 물감은 매우 귀했기 때문에 때로 금과 같은 가치로 교환되었다. 그래서 자주색으로 된 옷은 부자나 귀족들이 입는 옷으로 여겨졌다. 루디아가 자주색 옷감 장사였다는 것은 그가 상당한 재력가임을 보여주는 것이다. 다니엘 당시에도 자주옷은 왕족을 상징하는 옷이었다. 본절에서 벨사살 왕이 벽에 나타난 글자를 해석하는 자에게 자주옷을 입힌다는 것은 바로 그를 왕족과 같이 대우해 준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만큼 글씨를 해석하는 것이 중요했음을 보여준다.

■ 메네 메네 데겔 우바르신 (5:25~28)

 이 말은 벨사살 왕이 연회 중에 나타나 벽에 쓴 글씨로 이 글씨에 대한 뜻은 다음과 같다.

 메네의 문자적 의미는 '세다', '한계를 정하다'란 뜻이다. 여기서는 하나님이 이미 왕의 나라의 시대를 세어 끝나게 하셨다는 뜻을 나타낸다(26절).

 데겔은 히브리인의 측정 단위인 '세겔'을 가리킨다. 문자적 의미는 '헤아리다', '달다'라는 뜻이다. 여기서는 하나님의 심판을 위해 왕을 저울에 달아본즉 부족함이 뵈었다는 것을 뜻한다(27절).

 베레스(우바르신)의 문자적인 의미는 '나누다', '깨뜨리다'라는 뜻이다. 여기서는 하나님이 왕의 나라를 나누어 메대와 파사  사람에게 준 바 되었다는 뜻이다(28절).

■ 벨사살 왕의 존재에 대해 (5:30)

 일반 역사에 나타난 느부갓네살 왕 이후의 바벨론 왕들의 계보는?

 ① 느부갓네살(BC 604~562년)

 ② 에월므로 닥(아베말뚝, BC 552~560년)

 ③ 네르갈사레셀(네리그리살, BC 560~556년)

 ④ 라보로소알후드(라바시말둑, BC 556년)

 ⑤ 나보니더스(BC 555~539년) 등으로

 벨사살 왕의 인물은 그 계보에 나타나지 않는다. 그래서 역사가들은 한 때 벨사살 왕의 역사성을 부인하기도 했다. 그러나 본장은 분명히 벨사살 왕의 살해 사건과 그가 신바벨론의 마지막 왕이었음을 기록하고 있다(5:30~31). 이 벨사살 왕은 본문에서 보는 것처럼 교만에 빠져 잔치 때 예루살렘에서 빼앗아 온 성전 기물을 술잔으로 사용하다가 벌을 받아 그의 치세 3년 만에 살해되었고 나라는 그 메대 사람 다리오에 의해 통치되었다. 후에는 메대와 바사 두 나라로 갈리게 되었다(자세한 것은 7:1을 참고).


☞ Quiet Time ( 성경 묵상 시간 )

 벨사살 왕은 하나님의 뜻대로 나라를 다스리지 않은 느부갓네살의 교만으로 인해 왕위가 폐위된 것을 알았음에도 불구하고 오히려 겸손하지 못하고 하나님을 거역함으로 결국 죽임을 당했다(5:18~31). 따라서 하나님 앞에 늘 자신을 낮추고 그분의 뜻을 거역하는 자가 되지 말자.


※ 배설 (5:1) 잔치를 베풂

기명 (5:3) 그릇, 기물

분벽 (5:5) 하얗게 칠한 벽

의문 (5:12) 알 수 없는 것. 히브리 말로는 복잡하게 얽힌 매듭을 가리킴. 여기서는 궁전 벽에 나타난 알 수 없는 글자들을 가리킴

비상한 (5:14) 심상치 않음

해뜰푸드 해뜰삼촌 김치삼촌 해뜰쌀국수
해뜰애가득히 해뜰애담아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