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태복음 1장
예수 그리스도의 세계( 족보, 가계도)
1 아브라함과 다윗 자손 예수 그리스도의 세계라.
2 아브라함이 이삭을 낳고 이삭은 야곱을 낳고 야곱은 유다와 그의 형제를 낳고
3 유다는 다말에게서 베레스와 세라를 낳고 베레스는 헤스론을 낳고 헤스론은 람을 낳고
4 람은 아미나답을 낳고 아미나답은 나손을 낳고 나손은 살몬을 낳고
5 살몬은 라바에게서 보아스를 낳고 보아스는 룻에게서 오벳을 낳고 오벳은 이새를 낳고
6 이새는 다윗 왕을 낳으니라. 다윗은 우리야의 아내에게서 솔로몬을 낳고
7 솔로몬은 르호보암을 낳고 르호보암은 아비야를 낳고 이바야는 아사를 낳고
8 아사는 여호사밧을 낳고 여호사밧은 요람을 낳고
9 웃시야는 요담을 낳고 요담은 아하스를 낳고 아하스는 히스기야를 낳고
10 히스기야는 므낫세를 낳고 므낫세는 아몬을 낳고 아몬은 요시야를 낳고
11 바벨론으로 이거 할 때에 요시야는 여고냐와 그의 형제를 낳으니라.
12 바벨론으로 이거한 후에 여고냐는 스알디엘을 낳고 스알디엘은 스룹바벨을 낳고
13 스룹바벨은 아비웃을 낳고 이바훗은 엘리아김을 낳고 엘리아김은 아소르를 낳고
14 아소르는 사독을 낳고 사독은 아킨을 낳고 아킨은 엘리웃을 낳고
15 엘리웃은 엘르아살은 낳고 엘르아살은 맛단을 낳고 맛담은 야곱을 낳고
16 야곱은 마리아의 남편 요셉을 낳았으니 마리아에게서 그리스도라 칭하는 예수가 나시니라.
17 그런즉 모든 대수가 아브라함부터 다윗까지 열네 대요, 다윗부터 바벨론으로 이거 할 때까지 열네 대요, 바벨론으로 이거한 후부터 그리스도까지 열네 대더라.
예수의 탄생
18 예수 그리스도의 나심은 이러하니라. 그 모친 마리아가 요셉과 정혼하고 동거하기 전에 성령으로 잉태된 것이 나타났더니
19 그 남편 요셉은 의로운 사람이라. 저를 드러내지 아니하고 가만히 끊고자 하여
20 이 일을 생각할 때에 주의 사자가 현몽하여 가로되 다윗의 자손 요셉아! 네 아내 마리아 데려오기를 무서워 말라. 저에게 잉태된 자는 성령으로 된 것이라.
21 아들을 낳으리니 이름을 예수라 하라. 이는 그가 자기 백성을 저희 죄에서 구원할 자이심이라 하니라.
22 이 모든 일의 된 것은 주께서 선지자로 하신 말씀을 이루려 하심이니 가라사대
23 보라. 처녀가 잉태하여 아들을 낳을 것이요, 그 이름은 임마누엘이라 하리라 하셨으니 이를 번역한 즉 하나님이 우리와 함께 계시다 함이라.
23 요셉이 잠을 깨어 일어나서 주의 사자의 분주대로 행하여 그 아내를 데려왔으나
24 아들을 낳기까지 동침치 아니하더니 낳으매 이름을 예수라 하니라.
■ 메시아 족보의 구분 (1:17)
메시아의 족보를 시기적으로 14대씩 나누었는데(1:17), 이렇게 맞추기 위하여 중간에 생략된 부분들이 있다. 즉, '요람은 웃시야를 낳고'(1:8)에서 실제 그 사이에는 3대(오하시야, 요아스, 아마샤)가 생략되었다. 그리고 요시야와 여고냐(1:11) 사이에도 여호야김이 생략되었다. 이는 유대인들의 역사 기록 방식으로써, 성경에도 모든 역사와 모든 이름을 기록했으므로 생략된 부분이 있더라도 이는 오류가 아니다.
■ 처녀 (1:23)
처녀에 해당하는 히브리어는 '알마'와 '베툴라'가 있다. '알마'는 결혼과 처녀성의 유무에 관계없이 20~40세 정도의 젊은 여자를 의미하며, '베툴라'는 남자를 경험하지 못한 동정녀를 의미한다. 예수 탄생을 예언한 사 7:14에는 '알마'로 되어 있고 70인역에서는 '알마'를 '베툴라'의 뜻을 가진 '파르케노스'로 번역했다. 이는 '알마'나 '베툴라'가 문맥에 따라 서로 양자의 뜻을 다 포함하기 때문이다.
☞ Qquiet Time ( 성경 묵상 시간 )
일반적으로 유대인의 족보에는 여자를 넣지 않는다. 그러나 복음서에 나오는 예수의 족보에는 5명의 여자가 나온다(1:1~17). 그것도 마리아를 제외하고는 모두 경건치 못한 여인들이었다. 이는 죄에 대한 하나님의 은혜의 승리를 보여 주는 것이다. 이런 하나님의 은혜는 죄로 말미암아 죽을 수밖에 없는 나에게까지 이르렀음을 알고 감사함으로 죄의 유혹을 물리치자.
※ 세계 (1:2) 여기서는 족보. 가계도
※ 정혼 (1:18) 혼인을 정함
※ 성령 (1:18) 성신. 보혜사. 진리의 영
✅ 마태복음 1장 내용 요약
마태복음 1장은 예수 그리스도의 족보(1–17절)와 예수님의 탄생 이야기(18–25절)로 구성됩니다.
마태는 예수님이 아브라함의 후손이며 다윗의 자손임을 강조함으로써, 구약의 약속이 성취되었음을 보여줍니다.
또한 성령으로 잉태된 예수님의 탄생 이야기를 통해, 그분이 단순한 인간이 아니라 하나님의 아들이며 구세주라는 사실을 드러냅니다.
요셉의 순종은 믿음의 모범으로 등장하며, 예수라는 이름의 의미(자기 백성을 죄에서 구원할 자)도 강조됩니다.
✅ 묵상용 정리 (핵심 주제 + 적용 포인트)
주제 | 구절 범위 | 묵상 포인트 |
👑 예수의 족보 | 1–17절 | 아브라함과 다윗을 통해 연결된 족보는 하나님의 약속의 신실함을 보여준다. |
💡 하나님의 섭리 | 1–17절 | 다말, 라합, 룻, 밧세바 등 ‘상처 많고 약한 자’가 포함된 족보는 하나님의 은혜를 드러낸다. |
🤰 성령으로 잉태된 메시아 | 18–20절 | 예수님의 탄생은 인간의 논리로 설명할 수 없는 하나님의 신비한 역사다. |
🙇 요셉의 순종 | 24–25절 | 요셉은 비합리적인 상황 속에서도 하나님의 말씀을 따르는 믿음을 보인다. |
✝ 예수 이름의 의미 | 21절 | “예수”는 ‘자기 백성을 그들의 죄에서 구원할 자’라는 뜻이다. 예수는 구원이심을 믿자. |
✅ 핵심 구절 묵상
“아브라함과 다윗의 자손 예수 그리스도의 계보라” (1:1)
👉 예수님은 약속된 메시아로서, 하나님께서 인류를 향해 신실하게 일해오셨다는 증거이다.
“아들을 낳으리니 이름을 예수라 하라 이는 그가 자기 백성을 그들의 죄에서 구원할 자이심이라” (1:21)
👉 예수님의 오심은 단순한 감동이 아닌, 죄에서 구원하기 위한 하나님의 구체적 사역이다.
“보라 처녀가 잉태하여 아들을 낳을 것이요 그의 이름은 임마누엘이라 하리라 하셨으니 (번역한즉 하나님이 우리와 함께 계시다 함이라)” (1:23)
👉 하나님의 사랑은 ‘함께 하심’으로 나타난다. 예수는 곧 하나님과 함께 하는 삶의 시작이다.
💡 오늘의 삶의 적용 가이드
✅ 1. 예수님의 족보 안에 나의 자리도 있음을 기억하라
- 상처와 약점이 있는 인물들을 통해 하나님은 자신의 구속사를 이루셨다.
- 나는 자격이 아닌, 은혜로 부름받은 존재임을 믿자.
✅ 2. 하나님의 약속은 반드시 성취된다
- 오랜 세월이 걸리더라도 하나님의 계획은 중단되지 않는다.
- 믿음으로 하나님의 시간표를 신뢰하자.
✅ 3. 요셉처럼 조용히 순종하는 믿음을 배우자
- 때로는 말보다 순종이 더 깊은 신앙의 표현이다.
- 말씀을 들었을 때 즉시 반응하는 믿음을 실천하자.
✅ 4. ‘임마누엘’의 의미를 일상에서 되새기자
- 외로움과 고난 속에서도 “하나님이 나와 함께 계시다”는 믿음을 품자.
- 삶의 모든 순간을 임마누엘의 확신으로 견뎌내자.
✅ 5. 예수, 그 이름의 의미를 되새기며 감사하자
- 나는 내 힘으로 구원받을 수 없었다.
- 예수님의 이름에만 능력과 구원이 있다.
✅ 마무리 묵상
마태복음 1장은 “예수는 누구인가?”라는 질문에 대한 가장 본질적인 대답입니다.
그분은 약속된 메시아이며, 하나님이 우리와 함께 하시는 증거이며,
나의 죄를 사하시기 위해 오신 구세주 예수입니다.
오늘도 나는 이 예수의 이름을 믿고 따르며,
요셉처럼 조용히 순종하고,
하나님의 뜻이 내 삶에서 이루어지기를 간구합니다.
'성경필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태복음 마 3장 세례 받는 예수는 내 사랑하는 아들이요 내 기뻐하는 자 (0) | 2025.01.31 |
---|---|
마태복음 마 2장 아기 예수께 경배하는 동방 박사 (1) | 2025.01.30 |
말라기 서 말 4장 여호와께서 정하신 날 (0) | 2025.01.28 |
말라기 말 3장 심판 받을 자와 하나님이 아끼는 자 (0) | 2025.01.27 |
말라기 말 2장 심령을 삼가 지켜 어려서 취한 아내에게 궤사를 행치말라 (0) | 2025.01.26 |
댓글